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오랜 세월 조롱·비하 대상…한류 이후 긍정·친근 전환

‘대지’ 3부작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펄 벅이 1960년대 한국의 농촌을 여행하다 농부가 소달구지에 타지 않고 소와 짐을 나눠서 지고 나란히 걸어가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왜 달구지를 타고 편하게 가지 않느냐”는 질문에 농부는 “오늘 우리 소가 온종일 일을 많이 해서 피곤할 텐데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라도 짐을 나눠서 지고 가야지요”라고 답한다. 이 말에 크게 감동한 작가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광경을 봤다고 기록했다. 그리고 소설 ‘살아있는 갈대’의 첫머리에 이렇게 묘사했다. 한국은 고상한 사람들이 사는 보석 같은 나라라고.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비로소 미국의 대중은 한국의 존재에 대하여 알게 된다. 1950~60년대 할리우드에서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1970년 칸영화제 그랑프리 수상작 ‘매시(M*A*S*H, 로버트 올트먼 감독)’와 1972년부터 1983년까지 CBS를 통해 방영된 드라마 시리즈 ‘매시’는 많은 미국인들에게 처음으로 한국을 접할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할리우드의 한국인들에 대한 왜곡과 편견은 심각한 수준이었고 ‘매시’가 그 원조 격이었다. 기모노를 입은 한국 여성들, 베트남식 밀짚모자를 쓴 한국 남성 등 엉터리 고증이 많았다. 이 드라마의 영향으로 미국인들은 한국을 못살고 굶주린 나라로 인식했다.     1980년대 이후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한국인들의 모습 역시 매우 부정적이었다. 중국과 일본을 적당히 섞은 동양인, 일벌레, 돈벌레로 그려졌다. 스파이크 리의 1989년작 ‘똑바로 살아라(Do the right thing)’에서 흑인들은 “째진 눈(한국인)들이 뉴욕의 야채 가게를 다 차지했어”라며 조롱과 멸시를 보낸다.     평소 돈만 밝히고 흑인 고객들에게 무례했던 상점 주인은 영화의 피날레 폭동 장면에서 흑인들에게 가게를 습격당한다. 그는 그제야 짧은 영어로 “You, me, same”이라고 소리를 지르며 비열한 모습을 보인다. 이 영화는 미국 대중에게 한인들이 불친절한 돈벌레라는 인식을 심어주는데 적지 않은 공헌(?)을 했다. 1992년 LA폭동 당시 한흑갈등이라는 주제 아래 이 영화가 자주 언급됐다.     한인들을 눈물도 인정도 없는 구두쇠로 묘사한 마이클 더글러스 주연의 ‘폴링다운(Falling Down)’(1993)은 한인을 왜곡하는 대표적 영화로 꼽혔다. 한인을 비하하는 노골적인 인종차별 때문에 한국에서는 영화 안 보기 운동이 있을 정도였다.     2000년대에 들어 K팝 스타들이 세계를 무대로 존재감을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한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할리우드 영화 속에 한인이 대거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드라마의 획을 그은 작품으로 평가되는 2010년작 ‘워킹 데드(the Walking Dead)’의 메인 캐릭터인 한인 데릴은 중국인으로 오해를 받지만 점차 인종을 초월한 ‘멋진 남자’로 그려진다. 그러면서 점차 부각되는 그의 한국적 특성에 매료된 여성층 팬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어쩌면 글렌은 미국 여성들에게 ‘섹시한 남성’으로 어필된 최초의 한인 남성일지도 모른다. 그는 드라마에서 백인 여성 매기와 뜨거운 사랑을 나누고 결혼한다.     캐나다 CBC를 통해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방영된 ‘김씨네 편의점(Kim’s Convenience)’은 토론토 한인 이민 가정의 이야기를 그린 인기 드라마였다. 이민 1세 김상일은 일본에 대한 반감과 완고한 성격 때문에 2세들과 갈등을 빚는다. 그러나 집을 나간 아들을 기다리는 인정 많은 아버지고 겉으로는 풍족해 보이지 않지만 사실은 엄청난 재산을 모은 성공한 이민 1세다.     그의 아내 김영미는 교회 활동을 중히 여기는 전형적인 한인 엄마다. 부지런하고 요리 실력이 뛰어나 갈비찜, 김밥, 꼬리곰탕, 약밥 등을 만들어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다. 베푸는 것을 좋아하는 그녀의 호의 덕에 사람들은 공짜로 김치를 먹을 수 있다.     ‘김씨네 편의점’에서처럼 드라마 속 한인들은 보수적이고 교회 활동을 통해 공동체적 정체성을 공유한다. 그러나 한인들의 교회는 종교 공동체라 하더라도 같은 민족의 상부상조 모임 성격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다른 인종이 끼어들 틈이 없다.   미주 한인들의 종교적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한 영화는 한인 2세 정이삭 감독의 ‘미나리’다.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한 감독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한 이 영화는 아내 모니카를 신실한 교인으로 그리고 있는 반면, 교회로부터 상처받은 한인 이민자들의 모습도 솔직하게 표현, 종교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기도 했다.         기독교 안에서의 한인 2세들의 공동체 의식은 2024년 골든글로브 3관왕, 에미상 8관왕 ‘비프(Beef)’에서도 이어진다. ‘비프’는 한인 2세들에게 교회가 종교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 네트워크 역할을 하고 있음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해 미국인들에게 한인들의 종교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비프’는 또한 한인 사회에 가부장제가 뿌리 깊게 존재하고 있음을 간접 표현한다. 여성들을 만나기 위한 목적으로 교회에 나가는 남성들, 교회 내에 만연한 성별 격차, 특히 교회의 모든 리더십은 남성들의 전유물이라는 사실 등에서 성차별을 느낀 여성 시청자들이 많았다.     이 드라마는 한국인의 타자 지향성과 체면 중시 문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인다. 일례로 주인공 대니는 감정적으로 무너지고, 자살 충돌을 느끼고 있음에도 자신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애써 숨긴다. 그는 예배를 드리며 비애의 눈물을 흘리지만 아무렇지 않은 채 상황을 무마한다.     영화나 드라마 속 한인들은 대체로 무뚝뚝하다. 편견을 조성하고 불특정 소수를 일반화하는 엄연한 오류이지만, 영화와 드라마가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크다. 영화와 드라마 속 한인들은 인종차별과 왜곡을 충분히 경험해 왔다. 그러나 K팝, K드라마, K영화의 열풍이 지구촌 문화 흐름의 대세로 자리한 이후 한인들의 이미지가 상당히 개선되고 있음도 분명한 사실이다. 대중문화에 비친 한인의 이미지가 실제 우리의 모습이 아닐 수 있지만 세계가 우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이 틀림없다. 김정 영화평론가친근 전환 할리우드 영화 칸영화제 그랑프리 한국 남성

2024-09-25

국보, 한국 남성 정장 스페셜 세일

미주 최대의 한국 남성의류 매장인 국보(KUKBO)가 졸업 시즌을 앞두고 최신 한국 정장과 와이셔츠·구두 등 관련 세트 제품들을 새롭게 입고해 판매하고 있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국보에서 이번에 소개하는 최신 정장은 가벼운 터치감에 고급스러운 클래식함과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바지 핏으로 타 미국 의류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인 체형에 맞는 제품이다.   국보는 “이번에 입고된 한국 정장은 기성복이지만 사이즈가 16가지로 나뉘어 있어 맞춤 정장을 입은 것처럼 내 몸에 딱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며 “또한 국보는 와이셔츠, 구두, 벨트, 넥타이 등 정장 패션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구비함으로써 한 곳에서 모든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노던불러바드 208스트리트 국보 남성매장 매니저는 “수트뿐만 아니라 와이셔츠 또한 팔 길이가 한국인 체형에 딱 맞아 재구매율이 높은 제품으로 부모와 자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이라며 “졸업을 앞둔 학생들은 물론 첫 직장을 시작하는 젊은 층과 매일 정장으로 출퇴근하는 중년 남성들, 그리고 다양한 행사 때문에 늘 수트가 고민인 분들께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자신 있게 권했다.   한편 국보 남성매장(남성패션매장)은 주차장이 완비돼 편리하고, 연중무휴 주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영업한다.   ▶주소: 208-17 Northern Blvd, Bayside, NY 11361 ▶전화: 718-886-3344 박종원 기자국보 국보 남성매장 국보 남성패션매장 국보 정장 스페셜 세일 국보 한국 남성 정장 세일 국보 남성 정장 세트 세일

2024-04-18

한국 여성, 캐나다 국적 남성과 혼인 좋아

 캐나다 남성과 결혼을 한 한국 여성도 많은 편이지만 반대로 이혼을 한 경우도 많았던 것으로 나왔다.   한국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혼인 이혼 통계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국적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은 총 310명이었다. 이는 전년에 비해 39%나 늘어난 수치다.   작년 한 해 외국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은 총 4659명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13.2%가 늘어난 수치다. 이중 캐나다 남성과 결혼한 비율은 6.7%이다.     캐나다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은 2012년 505명이었다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해 2021년 223명으로 줄었다가 작년에 다시 증가한 것이다.   작년 한인 여성이 주로 결혼한 외국 남성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380명으로 전체의 29.6%, 중국이 750명으로 16.1%, 베트남이 586명으로 12.6%였고, 캐나다가 4번째로 많았으며, 이어 영국이 166명으로 3.6%, 호주가 151명으로 3.2%였다.   반대로 외국 여성과 결혼한 한국 남성은 작년 한 해 총 1만 2007명이었다. 대상 국가는 베트남, 중국, 태국, 미국, 일본, 필리핀 등이었다.   혼인이 아니라 이혼을 한 수는 작년에 총 5800건으로 전년대비 5.9%가 감소했다. 이중 외국인 남성과 이혼을 한 한국여성은 1800명이었다.   남성의 국적을 보면 중국이 68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 285명, 미국 238명, 베트남 178명, 그리고 캐나다가 43명, 호주가 33명 등이었다. 캐나다는 전년 대비 17.3%가 감소해 주요 6개국 중 가장 낮은 증감율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미국 중국 캐나다 남성 한국 남성 캐나다 국적

2023-03-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